Ticker

6/recent/ticker-posts

Header Ads Widget

오송 참사 2주기…추모 현판·조형물 설치 추진

오송 참사 2주기…추모 현판·조형물 설치 추진

오윤주기자수정2025-07-07 15:35등록2025-07-07 15:35

기사를 읽어드립니다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theaudioelement.0오송 참사 유가족·생존자 협의회, 시민대책위원회 등이 7일 오전 충북도청 앞에서 오송 참사 2주기 추모주간을 선포하고, 오송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등을 요구했다. 오윤주 기자오송 지하차도 참사를 기억하고, 희생자 등을 기리는 현판과 추모 조형물이 설치된다.충북도는 7일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 2주기를 앞두고 15일까지 추모 주간을 운영한다. 이와 함께 추모 현판과 추모 조형물을 설치하는 것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날 아침 청주시 임시청사에 있는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 희생자 시민분향소’를 찾은 김영환 충북지사는 “유가족 등의 바람에 따라 오송 지하차도에 현판을 설치하려 했는데 조금 지연되고 있다. 추모 조형물 도청 설치도 전향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023년 7월15일 아침 청주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로 시민 14명이 숨지고, 16명이 다쳤다.오송 궁평2 지하차도 입구. 오윤주 기자충북도는 오송 참사 현장인 궁평2지하차도 입구 도로명 바로 위에 ‘오송 참사 희생자 기억의 길’이라는 현판 설치를 추진한다. 충북도는 앞서 600만원을 들여 세로 30㎝, 가로 6m 크기로 현판을 제작했으며, 지난 3일 이 현판을 설치하려다 갑자기 중단해 오송 참사 유가족협의회 등의 반발을 샀다. 류혜진 충북도 도로관리사업소 행정지원과장은 “지난 3월 국토교통부에 구두 문의한 뒤 현판을 제작했다. 도로명 위에 추가 문구 현판을 영구 설치하는 근거를 마련하려고 지난 3일 국토부에 문서로 질의했다. 답이 오는 대로 설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선영 오송 참사 시민대책위원회 집행위원은 “현판 설치를 약속한 당일 정부 부처에 해석을 문의하는 충북도의 늑장 행정을 탓하지 않을 수 없다. 차일피일 미루다 무산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광고충북도청 안 연못정원 주변에 추모 조형물 설치도 추진한다. 충북도는 최근 유족 등이 건넨 도청 안 연못정원 추모 조형물 설치 제안을 받아들였다. 앞서 충북도와 유가족 협의회 등은 오송 참사 현장, 오송역, 공원 등에 오송 참사 추모 조형물 설치 관련 협의를 진행해왔다. 김유택 충북도 안전정책팀장은 “대형 추모비보다 서울 우면산 사고 추모 조형물처럼 예술 작품 성격을 띤 추모 조형물을 설치로 가닥을 잡았다. 조형물 형태·크기·위치 등이 정해지는 대로 관련 예산을 편성하고 설치를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충북도와 오송 참사 유가족·생존자 협의회, 시민대책위원회 등은 오는 15일까지 오송 참사 추모주간을 진행한다. 충북도 모든 직원은 추모 리본을 달고, 시·군·단체 등은 추모 펼침막을 도내 곳곳에 달기로 했다.광고광고오송 참사 유가족·생존자 협의회, 시민대책위원회 등은 7일 오전 충북도청에서 ‘진상규명·책임자 처벌·안전사회건설의 기억과 다짐’ 기자회견을 했다. 이들은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국회는 국정조사로 오송 참사 진상규명을 약속했는데 꼭 지키길 바란다. 오송 참사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 안전사회 건설을 위해 함께 해 달라”고 시민에게 호소했다.이들은 오송 참사 추모 콘서트 ‘우리가 기억을 이을 때’(11일), 오송 참사 국정조사 촉구·생명안전기본법 제정 서명(9, 14일), 오송 참사 2주기 추모제(15일) 등을 진행할 참이다.오윤주 기자sting@hani.co.kr

기사를 읽어드립니다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theaudioelement.0

기사를 읽어드립니다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theaudioelement.

오송 참사 유가족·생존자 협의회, 시민대책위원회 등이 7일 오전 충북도청 앞에서 오송 참사 2주기 추모주간을 선포하고, 오송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등을 요구했다. 오윤주 기자

오송 지하차도 참사를 기억하고, 희생자 등을 기리는 현판과 추모 조형물이 설치된다.

충북도는 7일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 2주기를 앞두고 15일까지 추모 주간을 운영한다. 이와 함께 추모 현판과 추모 조형물을 설치하는 것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날 아침 청주시 임시청사에 있는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 희생자 시민분향소’를 찾은 김영환 충북지사는 “유가족 등의 바람에 따라 오송 지하차도에 현판을 설치하려 했는데 조금 지연되고 있다. 추모 조형물 도청 설치도 전향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023년 7월15일 아침 청주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로 시민 14명이 숨지고, 16명이 다쳤다.

오송 궁평2 지하차도 입구. 오윤주 기자

충북도는 오송 참사 현장인 궁평2지하차도 입구 도로명 바로 위에 ‘오송 참사 희생자 기억의 길’이라는 현판 설치를 추진한다. 충북도는 앞서 600만원을 들여 세로 30㎝, 가로 6m 크기로 현판을 제작했으며, 지난 3일 이 현판을 설치하려다 갑자기 중단해 오송 참사 유가족협의회 등의 반발을 샀다. 류혜진 충북도 도로관리사업소 행정지원과장은 “지난 3월 국토교통부에 구두 문의한 뒤 현판을 제작했다. 도로명 위에 추가 문구 현판을 영구 설치하는 근거를 마련하려고 지난 3일 국토부에 문서로 질의했다. 답이 오는 대로 설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선영 오송 참사 시민대책위원회 집행위원은 “현판 설치를 약속한 당일 정부 부처에 해석을 문의하는 충북도의 늑장 행정을 탓하지 않을 수 없다. 차일피일 미루다 무산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충북도청 안 연못정원 주변에 추모 조형물 설치도 추진한다. 충북도는 최근 유족 등이 건넨 도청 안 연못정원 추모 조형물 설치 제안을 받아들였다. 앞서 충북도와 유가족 협의회 등은 오송 참사 현장, 오송역, 공원 등에 오송 참사 추모 조형물 설치 관련 협의를 진행해왔다. 김유택 충북도 안전정책팀장은 “대형 추모비보다 서울 우면산 사고 추모 조형물처럼 예술 작품 성격을 띤 추모 조형물을 설치로 가닥을 잡았다. 조형물 형태·크기·위치 등이 정해지는 대로 관련 예산을 편성하고 설치를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충북도와 오송 참사 유가족·생존자 협의회, 시민대책위원회 등은 오는 15일까지 오송 참사 추모주간을 진행한다. 충북도 모든 직원은 추모 리본을 달고, 시·군·단체 등은 추모 펼침막을 도내 곳곳에 달기로 했다.

오송 참사 유가족·생존자 협의회, 시민대책위원회 등은 7일 오전 충북도청에서 ‘진상규명·책임자 처벌·안전사회건설의 기억과 다짐’ 기자회견을 했다. 이들은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국회는 국정조사로 오송 참사 진상규명을 약속했는데 꼭 지키길 바란다. 오송 참사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 안전사회 건설을 위해 함께 해 달라”고 시민에게 호소했다.

이들은 오송 참사 추모 콘서트 ‘우리가 기억을 이을 때’(11일), 오송 참사 국정조사 촉구·생명안전기본법 제정 서명(9, 14일), 오송 참사 2주기 추모제(15일) 등을 진행할 참이다.

오윤주 기자sting@hani.co.kr


📰 원문 바로가기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