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cker

6/recent/ticker-posts

Header Ads Widget

학생들과 태극기 휘날리며 "독립 만세!"…호주 선교사들도 함께했다



ⓒ SBS & SBS Digital News Lab / RSS 피드는 개인 리더 이용 목적으로 허용 되어 있습니다. 피드를 이용한 게시 등의 무단 복제는 금지 되어 있습니다.track pixel

▶ SBS 뉴스 앱 다운로드

▶ 뉴스에 지식을 담다 - 스브스프리미엄 앱 다운로드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일제강점기 부산에서 여학교의 3·1 운동을 도운 세 명의 호주 선교사가 3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됐습니다.

국가보훈부는 일제강점기 부산진일신여학교(일신여학교)의 3·1 운동을 도왔던 호주 선교사 3명을 3월 독립운동가로 뽑았다고 29일 밝혔습니다. 

올해 3월 독립운동가로 선정된 3명의 호주 선교사(사진=국가보훈부 제공, 연합뉴스)

이들의 이름은, 왼쪽부터 차례로

마가렛 샌더먼 데이비스, 이사벨라 멘지스, 데이지 호킹

입니다. 

마가렛 샌더먼 데이비스

는 1910년 부산에 선교사로 파견돼 1914년부터 일신여학교 교장을 맡았습니다. 

1919년 3월 11일 학생들의 만세 시위에 참여한 마가렛은 학생 보호에 앞장서다 체포된 후 불기소 처분을 받았으며, 1940년대에는 일제가 기독교 학교에도 신사참배를 강요하자 '신사참배를 강요받는 학교를 경영하지 않겠다'는 호주 장로회의 방침에 동의하면서 일신여학교가 폐교됐고, 결국 호주로 귀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사벨라 멘지스

는 1891년 부산에 선교사로 파견돼 부산·경남 지역 최초의 근대 여성 교육기관인 일신여학교를 설립해 초대 교장이 됐습니다.  

멘지스는 학생들이 시위를 위해 태극기를 만들자 태극기 제작에 필요한 깃대를 제공했고, 일제의 수사가 진행되자 학생 보호를 위해 태극기를 소각한 일로 체포돼 기소 유예 처분을 받았습니다. 

데이지 호킹

은 1916년 부산에 선교사로 파견돼 어린이를 위한 성경학교와 주일학교를 운영하다 1918년부터 일신여학교 학교 교사로 근무하게 됐고, 그는 학생들에게 만세 시위를 권유하며 함께 행진한 일로 일제에 체포돼 불기소 처분을 받았습니다. 

한편, 1919년 3월 11일 일신여학교의 만세 운동은 부산·경남 지역까지 시위가 확대되는 계기가 됐으며, 시위의 계획과 지휘를 비롯한 전반 과정을 여교사와 여학생들이 주도했다는 점에서 여성 독립운동 분야에 큰 발자취를 남겼습니다. 

이에 정부는 지난 2022년 이들의 공훈을 가리기 위해 데이비스에겐 건국훈장 애족장을, 멘지스와 호킹에겐 건국포장을 각각 추서한 바 있습니다.

(사진=국가보훈부 제공, 연합뉴스)

▶신송희 기사 더보기

▶SBS 뉴스 원문 기사 보기

▶ SBS 뉴스 앱 다운로드

▶ 뉴스에 지식을 담다 - 스브스프리미엄 앱 다운로드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https://ift.tt/CMQaT4G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