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BS & SBS Digital News Lab / RSS 피드는 개인 리더 이용 목적으로 허용 되어 있습니다. 피드를 이용한 게시 등의 무단 복제는 금지 되어 있습니다.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의대 정원을 늘리는 것에 반대해 사직서를 낸 전공의들이 9천 명을 넘었습니다. 전공의 4명 가운데 3명이 업무에서 손을 뗀 겁니다. 정부는 전공의의 요구 가운데 수용할 부분도 있다며 복귀를 호소했습니다.<앵커>
의대 정원을 늘리는 것에 반대해 사직서를 낸 전공의들이 9천 명을 넘었습니다. 전공의 4명 가운데 3명이 업무에서 손을 뗀 겁니다. 정부는 전공의의 요구 가운데 수용할 부분도 있다며 복귀를 호소했습니다.
보도에 김지욱 기자입니다.
<기자>
대마불사가 통하지 않을 거라며 구속 수사 원칙까지 언급해 전공의를 압박하던 정부가 설득 공세로 전환했습니다.
전공의 비대위가 밝힌 요구 사항의 여러 부분을 수용하겠다고 밝히며 대화하자고 요구했습니다.
[박민수/보건복지부 제2차관 : 열악한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불가항력 의료사고에 대한 구체적인 법적 대책 제시 등 요구 조건의 많은 부분이 수용 가능하니….]
하지만 2천 명 증원 규모는 근거가 있는 정책 결정이라며 타협할 수 없음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의사 양성에 걸리는 기간,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의료수요 증대를 근거로 제시하며, 오히려 의사단체가 증원에 대해 어떤 의견도 제시하지 않았다고 비판했습니다.
대정부 질문에 나선 한덕수 국무총리도 의대 증원은 불가피하다고 역설했습니다.
[한덕수/국무총리 : 2024년 현재 우리나라의 의대 정원은 30년 전인 1994년보다도 적습니다. 환자는 늘어나는데 의대 정원은 그대로입니다.]
대통령실도 가세했습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에 올린 글을 통해 의료계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했습니다.
특히 의대 증원이 지역·필수 의료 재건으로 이어지지 않을 거란 의료계의 주장에 대해선, "지역에서 교육받으면 지역 의사로 성장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2017년 전문의 중 비수도권 의대를 졸업하고 수련하는 경우 비수도권에 남는 비율이 82%에 이르렀다는 수치를 제시했습니다.
또 지난 10년간 의사 수와 진료비 증가율 상관 관계는 미미하다며 의사가 증가해도 의료비 부담은 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영상취재 : 배문산, 영상편집 : 최은진, 화면제공 : 국회방송)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https://ift.tt/hZOsWbr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