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cker

6/recent/ticker-posts

Header Ads Widget

집값 치솟더니…이달 가계대출도 '6조원' 불었다

집값 치솟더니…이달 가계대출도 '6조원' 불었다

이송렬 기자기자 구독입력2025.06.29 07:27수정2025.06.29 07:27글자크기 조절기사 스크랩기사 스크랩공유공유댓글0댓글클린뷰클린뷰프린트프린트지난 26일 기준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 5조8000억원 증가고소득자 신용대출·서울 외곽 등 '풍선효과' 가능성사진=뉴스1서울 집값이 가파르게 치솟으면서 이달에도 가계대출 증가액이 큰 폭으로 늘었다. 벌써 5개월 연속 증가세다. 이에 당국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묶는 초고강도 규제를 내놓으면서 내달부턴 대출 수요가 크게 꺾일 전망이다.29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5조8000억원가량 증가했다. 남은 기간 예정된 대출 실행액 규모 등을 고려하면 6월 증가액은 6조원대 후반 수준이 될 전망이다. 올해 2월(+4조2000억원), 3월(+4000억원), 4월(+5조3000억원), 5월(+6조원)에 이어 5개월 연속 증가세다.6월 증가 폭은 사상 최대 영끌 광풍이 불었던 지난해 8월(+9조7000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대출채권 매·상각 등의 변수를 감안한 추정이다.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26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52조9948억원으로, 5월 말(748조812억원)보다 4조9136억원 불었다. 하루 평균 약 1890억원씩 증가했는데, 이 역시 지난해 8월(3105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크다.다만 전날부터 수도권 주담대가 최대 6억원으로 묶이는 등 강력한 대출 규제가 시행됐다. 증가세가 다소 약해지면서 전체 월간 증가 폭이 5조원대 초반에 그칠 가능성도 있다.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주담대(전세자금 대출 포함) 잔액이 597조6105억원으로, 5월 말(593조6616억원)과 비교해 26일 사이 3조9489억원 늘었다. 신용대출도 103조3145억원에서 104조3233억원으로 1조88억원 증가했다. 이미 하루 평균 증가액(388억원)이 5월(265억원)의 약 1.5 배에 이른다.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강동구 일대(오른쪽) 모습/사진=한경DB금융당국은 지난 27일 발표한 고강도 대출 규제 효과를 분석하며 가계대출 및 부동산 시장 흐름에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주담대 한도 6억원' 등 이번 대책이 전날부터 전격 시행됐지만 주택 거래부터 대출 실행까지 한두달가량 시차가 발생하는 만큼 '본 게임'은 8월 대출 추이가 될 것으로 보인다.금융당국은 다음 달에도 '실행액'이 아닌 '승인액' 기준 등으로 규제 효과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정밀 분석한다. 금융당국이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절반으로 감축한다고 밝힌 만큼 향후 가계대출 월간 증가 폭은 3조~4조원 아래로 관리될 것으로 보인다.초강력 규제로 대출 수요가 상당 부분 억눌릴 것이란 보이지만, 고가 아파트에서 가격이 높지 않은 주택으로 수요가 이동하는 '풍선효과'를 유의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금리 인하 기대나 주택 공급 부족 전망이 유효한 상황에서 '고가 영끌'을 타깃으로 한 대출 규제만 도입돼서다.6억원 주담대 한도 내에서 빚을 내 매입이 가능한 서울 '노도강'이나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 등 서울 외곽으로 매수세가 옮겨붙을 수 있다. 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면서 신용대출로의 풍선효과를 예상하는 시각도 있다. 금융당국은 필요시 추가 보완 대책도 내겠다는 입장이다.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좋아요싫어요후속기사 원해요ⓒ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한국경제 구독신청모바일한경 보기ADVERTISEMENT관련 뉴스1진보 정권 들어서면 집값 오른다?…與 "尹 정부 영향" [이슈+]서울 부동산 시장이 이례적인 폭등을 거듭하는 가운데,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전임 정부에 책임을 돌렸다. 진 위의장은 문재인 정부에서는 집값이 안정적이었으나, 윤 정부에서 집값 부양정책을 펼치며 집값에 영향...2與, 물가 TF 출범…"특단 조치 필요…부동산 면밀 주시"더불어민주당이 민생물가 대책 마련을 위해 칼을 빼 들었다. 민주당은 24일 물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당 태스크포스(TF)를 출범식을 열고 물가 안정을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김병기 원내대표는 이날 출...3되살아난 '영끌 광풍'…가계대출 증가속도 10개월 만에 최대최근 수도권 주택과 주식 등 자산가격이 상승하면서 ‘빚투’(빚 내서 투자)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다. 금융당국의 경고로 일부 은행권이 대출을 조이는 있는데도, 실제 대출 집행과 신청이 빠르게 증가...ADVERTISEMENT

이송렬 기자기자 구독

이송렬 기자기자 구독

이송렬 기자기자 구독

이송렬 기자기자 구독

입력2025.06.29 07:27수정2025.06.29 07:27글자크기 조절

입력2025.06.29 07:27수정2025.06.29 07:27

기사 스크랩기사 스크랩공유공유댓글0댓글클린뷰클린뷰프린트프린트

기사 스크랩기사 스크랩공유공유댓글0댓글클린뷰클린뷰프린트프린트

지난 26일 기준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 5조8000억원 증가고소득자 신용대출·서울 외곽 등 '풍선효과' 가능성사진=뉴스1서울 집값이 가파르게 치솟으면서 이달에도 가계대출 증가액이 큰 폭으로 늘었다. 벌써 5개월 연속 증가세다. 이에 당국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묶는 초고강도 규제를 내놓으면서 내달부턴 대출 수요가 크게 꺾일 전망이다.29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5조8000억원가량 증가했다. 남은 기간 예정된 대출 실행액 규모 등을 고려하면 6월 증가액은 6조원대 후반 수준이 될 전망이다. 올해 2월(+4조2000억원), 3월(+4000억원), 4월(+5조3000억원), 5월(+6조원)에 이어 5개월 연속 증가세다.6월 증가 폭은 사상 최대 영끌 광풍이 불었던 지난해 8월(+9조7000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대출채권 매·상각 등의 변수를 감안한 추정이다.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26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52조9948억원으로, 5월 말(748조812억원)보다 4조9136억원 불었다. 하루 평균 약 1890억원씩 증가했는데, 이 역시 지난해 8월(3105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크다.다만 전날부터 수도권 주담대가 최대 6억원으로 묶이는 등 강력한 대출 규제가 시행됐다. 증가세가 다소 약해지면서 전체 월간 증가 폭이 5조원대 초반에 그칠 가능성도 있다.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주담대(전세자금 대출 포함) 잔액이 597조6105억원으로, 5월 말(593조6616억원)과 비교해 26일 사이 3조9489억원 늘었다. 신용대출도 103조3145억원에서 104조3233억원으로 1조88억원 증가했다. 이미 하루 평균 증가액(388억원)이 5월(265억원)의 약 1.5 배에 이른다.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강동구 일대(오른쪽) 모습/사진=한경DB금융당국은 지난 27일 발표한 고강도 대출 규제 효과를 분석하며 가계대출 및 부동산 시장 흐름에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주담대 한도 6억원' 등 이번 대책이 전날부터 전격 시행됐지만 주택 거래부터 대출 실행까지 한두달가량 시차가 발생하는 만큼 '본 게임'은 8월 대출 추이가 될 것으로 보인다.금융당국은 다음 달에도 '실행액'이 아닌 '승인액' 기준 등으로 규제 효과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정밀 분석한다. 금융당국이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절반으로 감축한다고 밝힌 만큼 향후 가계대출 월간 증가 폭은 3조~4조원 아래로 관리될 것으로 보인다.초강력 규제로 대출 수요가 상당 부분 억눌릴 것이란 보이지만, 고가 아파트에서 가격이 높지 않은 주택으로 수요가 이동하는 '풍선효과'를 유의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금리 인하 기대나 주택 공급 부족 전망이 유효한 상황에서 '고가 영끌'을 타깃으로 한 대출 규제만 도입돼서다.6억원 주담대 한도 내에서 빚을 내 매입이 가능한 서울 '노도강'이나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 등 서울 외곽으로 매수세가 옮겨붙을 수 있다. 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면서 신용대출로의 풍선효과를 예상하는 시각도 있다. 금융당국은 필요시 추가 보완 대책도 내겠다는 입장이다.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지난 26일 기준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 5조8000억원 증가고소득자 신용대출·서울 외곽 등 '풍선효과' 가능성

사진=뉴스1서울 집값이 가파르게 치솟으면서 이달에도 가계대출 증가액이 큰 폭으로 늘었다. 벌써 5개월 연속 증가세다. 이에 당국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묶는 초고강도 규제를 내놓으면서 내달부턴 대출 수요가 크게 꺾일 전망이다.29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5조8000억원가량 증가했다. 남은 기간 예정된 대출 실행액 규모 등을 고려하면 6월 증가액은 6조원대 후반 수준이 될 전망이다. 올해 2월(+4조2000억원), 3월(+4000억원), 4월(+5조3000억원), 5월(+6조원)에 이어 5개월 연속 증가세다.6월 증가 폭은 사상 최대 영끌 광풍이 불었던 지난해 8월(+9조7000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대출채권 매·상각 등의 변수를 감안한 추정이다.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26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52조9948억원으로, 5월 말(748조812억원)보다 4조9136억원 불었다. 하루 평균 약 1890억원씩 증가했는데, 이 역시 지난해 8월(3105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크다.다만 전날부터 수도권 주담대가 최대 6억원으로 묶이는 등 강력한 대출 규제가 시행됐다. 증가세가 다소 약해지면서 전체 월간 증가 폭이 5조원대 초반에 그칠 가능성도 있다.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주담대(전세자금 대출 포함) 잔액이 597조6105억원으로, 5월 말(593조6616억원)과 비교해 26일 사이 3조9489억원 늘었다. 신용대출도 103조3145억원에서 104조3233억원으로 1조88억원 증가했다. 이미 하루 평균 증가액(388억원)이 5월(265억원)의 약 1.5 배에 이른다.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강동구 일대(오른쪽) 모습/사진=한경DB금융당국은 지난 27일 발표한 고강도 대출 규제 효과를 분석하며 가계대출 및 부동산 시장 흐름에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주담대 한도 6억원' 등 이번 대책이 전날부터 전격 시행됐지만 주택 거래부터 대출 실행까지 한두달가량 시차가 발생하는 만큼 '본 게임'은 8월 대출 추이가 될 것으로 보인다.금융당국은 다음 달에도 '실행액'이 아닌 '승인액' 기준 등으로 규제 효과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정밀 분석한다. 금융당국이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절반으로 감축한다고 밝힌 만큼 향후 가계대출 월간 증가 폭은 3조~4조원 아래로 관리될 것으로 보인다.초강력 규제로 대출 수요가 상당 부분 억눌릴 것이란 보이지만, 고가 아파트에서 가격이 높지 않은 주택으로 수요가 이동하는 '풍선효과'를 유의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금리 인하 기대나 주택 공급 부족 전망이 유효한 상황에서 '고가 영끌'을 타깃으로 한 대출 규제만 도입돼서다.6억원 주담대 한도 내에서 빚을 내 매입이 가능한 서울 '노도강'이나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 등 서울 외곽으로 매수세가 옮겨붙을 수 있다. 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면서 신용대출로의 풍선효과를 예상하는 시각도 있다. 금융당국은 필요시 추가 보완 대책도 내겠다는 입장이다.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좋아요싫어요후속기사 원해요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한국경제 구독신청모바일한경 보기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구독신청모바일한경 보기

ADVERTISEMENT관련 뉴스1진보 정권 들어서면 집값 오른다?…與 "尹 정부 영향" [이슈+]서울 부동산 시장이 이례적인 폭등을 거듭하는 가운데,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전임 정부에 책임을 돌렸다. 진 위의장은 문재인 정부에서는 집값이 안정적이었으나, 윤 정부에서 집값 부양정책을 펼치며 집값에 영향...2與, 물가 TF 출범…"특단 조치 필요…부동산 면밀 주시"더불어민주당이 민생물가 대책 마련을 위해 칼을 빼 들었다. 민주당은 24일 물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당 태스크포스(TF)를 출범식을 열고 물가 안정을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김병기 원내대표는 이날 출...3되살아난 '영끌 광풍'…가계대출 증가속도 10개월 만에 최대최근 수도권 주택과 주식 등 자산가격이 상승하면서 ‘빚투’(빚 내서 투자)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다. 금융당국의 경고로 일부 은행권이 대출을 조이는 있는데도, 실제 대출 집행과 신청이 빠르게 증가...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관련 뉴스1진보 정권 들어서면 집값 오른다?…與 "尹 정부 영향" [이슈+]서울 부동산 시장이 이례적인 폭등을 거듭하는 가운데,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전임 정부에 책임을 돌렸다. 진 위의장은 문재인 정부에서는 집값이 안정적이었으나, 윤 정부에서 집값 부양정책을 펼치며 집값에 영향...2與, 물가 TF 출범…"특단 조치 필요…부동산 면밀 주시"더불어민주당이 민생물가 대책 마련을 위해 칼을 빼 들었다. 민주당은 24일 물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당 태스크포스(TF)를 출범식을 열고 물가 안정을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김병기 원내대표는 이날 출...3되살아난 '영끌 광풍'…가계대출 증가속도 10개월 만에 최대최근 수도권 주택과 주식 등 자산가격이 상승하면서 ‘빚투’(빚 내서 투자)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다. 금융당국의 경고로 일부 은행권이 대출을 조이는 있는데도, 실제 대출 집행과 신청이 빠르게 증가...


📰 원문 바로가기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