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cker

6/recent/ticker-posts

Header Ads Widget

'아궁이 여부'부터 '한국어실력'까지…100년 맞은 '인구주택총조사'

'아궁이 여부'부터 '한국어실력'까지…100년 맞은 '인구주택총조사'

이광식 기자기자 구독입력2025.07.03 21:17수정2025.07.03 21:24글자크기 조절기사 스크랩기사 스크랩공유공유댓글0댓글클린뷰클린뷰프린트프린트통계청, 올 10월 '인구주택 총조사' 시행'대한민국의 데이터베이스(DB)' 인구주택총조사가 오는 10월 시작된다. 올해 인구주택총조사는 다문화가구 및 1인 가구 증가를 고려해 한국어 실력과 가구 내 사용언어, 결혼 계획 및 의향을 새로 조사할 계획이다.통계청은 3일 이 같은 내용의 ‘2025 인구주택총조사’ 실시 계획을 발표했다.인구주택총조사는 1925년 최초로 시작해 올해 100년이 된 국내 최고(最古) 통계다. 인구주택총조사는 통계법에 근거해 5년에 한 번씩 실시된다. 정부가 국가 단위로 실시하는 조사 가운데 표본 규모가 가장 크다.인구주택총조사는 조사 기준 시점(11월 1일) 현재 한국 영토 20% 표본조사구 내 상주하는 모든 내·외국인과 이들이 사는 거처가 대상이다. 조사 대상을 가구 수로 환산하면 약 500만가구에 이른다. 인구주택총조사가 국가 정책의 기본 자료로 활용되는 이유다. 조사에 동원되는 인력과 예산도 상당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이번 인구주택총조사에 동원되는 요원만 약 3만명으로, 예산 1146억원이 쓰인다. 조사 결과는 내년 11월에 공표된다.조사 주관기관은 통계청, 실시기관은 지방자치단체가 각각 맡는다. 10월 22~31일엔 인터넷과 전화조사 방식으로, 11월 1~18일엔 방문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된다. 방문 면접조사 기간에도 인터넷이나 전화조사로 참여할 수 있다.인구총조사 조사항목은 시대 변화에 따라 늘 바뀌어왔다. 인구총조사가 처음 시작된 1925년엔 성명과 성별, 출생연월, 배우 관계, 본적(국적)이 조사 항목이었다. 1930년엔 세대에서의 지위와 읽고 쓰는 정도(가나, 한글) 등과 더불어 직업을 처음으로 묻기 시작했다.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엔 인구 파악을 시급하게 하기 위해 1950년 예정됐던 센서스를 1년 앞당겨 1949년에 실시했다. 당시 조사에선 군사 경험(계급, 병과)과 징용 경험이 주요 조사항목으로 들어왔다. 그러나 이듬해 터진 한국전쟁으로 ‘대한민국 제1회 총인구조사 결과속보’ 외에는 조사자료가 소실돼 집계하지 못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한국전쟁이 지나고 첫 인구총조사가 진행된 1955년엔 불구상태(실명, 손·발 절단, 농아) 여부도 조사 대상이었다. 당시 자료엔 전쟁이 남긴 참혹한 상처가 남아있다. 자료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 각각 불구자는 11만9276명과 5만5901명에 달했고, 이중 농아가 각 성별에서 1만9197명과 1만1206명으로 가장 많았다,인구주택총조사는 한국 사회의 변화와 함께해왔다. 1960년에는 문맹 여부와 아궁이 형태가, 1970년에는 재봉틀과 전화, 라디오 등 가재 보유 여부가 인구주택총조사 주요 조사항목이었다. 1980년에는 거처의 종류(아파트, 연립주택 등)와 통근 통학 여부와 장소가, 1990년에는 소득(가구)과 구직(활동) 여부가 주요 조사 대상이었다. 1995년엔 ‘빈집’ 조사도 이뤄졌다.이번 조사에선 △가족 돌봄 시간 △결혼 계획 및 의향 △가구 내 사용언어 △한국어 실력 △임대 주체 등이 새로운 조사 대상으로 포함됐다.안형준 통계청 차장은 “인구주택총조사(센서스)는 대한민국 100년 발전사와 함께해왔고, 올해 실시하는 인구주택총조사는 코로나19 처음 실시하는 대규모 표본조사”라며 “조사목적과 취지를 고려해 적극적인 참여와 정확한 응답을 부탁드린다”라고 했다.이광식 기자 bumeran@hankyung.com좋아요싫어요후속기사 원해요ⓒ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한국경제 구독신청모바일한경 보기ADVERTISEMENT관련 뉴스1"경제 안 좋은데 술·담배도 끊자"…비상계엄에 지갑 닫은 서민들"케이티앤지(KT&G), 하이트진로 살 때 아닌가요?"두 종목은 이른바 '죄악주'로 통한다. 죄악주는 경기가 흔들릴 때도 안정적 수익률을 낸다. 술·담배·경제신문 씀씀이는 경제...2고용통계가 보여주는 저출산, '독박육아'의 현실 [남정민의 정책레시피]통계청은 매달 중순 ‘고용동향’이라는 통계를 발표합니다.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 중 경제활동 인구는 얼마나 되고, 고용률과 실업률은 얼마고, 연령별·산업별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32월 온라인쇼핑 21조 넘었다…배달 늘고 '갤럭시 S25 효과' 톡톡지난 2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21조원을 넘어섰다. 매년 2월 기준 역대 최대치다. 특히 음식배달 서비스 거래액, 갤럭시 S25 등 휴대전화 신기종 출시로 인한 통신기기 거래가 크게 늘며 전체 거래액 규모를 끌어올렸...ADVERTISEMENT

이광식 기자기자 구독

이광식 기자기자 구독

이광식 기자기자 구독

이광식 기자기자 구독

입력2025.07.03 21:17수정2025.07.03 21:24글자크기 조절

입력2025.07.03 21:17수정2025.07.03 21:24

기사 스크랩기사 스크랩공유공유댓글0댓글클린뷰클린뷰프린트프린트

기사 스크랩기사 스크랩공유공유댓글0댓글클린뷰클린뷰프린트프린트

통계청, 올 10월 '인구주택 총조사' 시행'대한민국의 데이터베이스(DB)' 인구주택총조사가 오는 10월 시작된다. 올해 인구주택총조사는 다문화가구 및 1인 가구 증가를 고려해 한국어 실력과 가구 내 사용언어, 결혼 계획 및 의향을 새로 조사할 계획이다.통계청은 3일 이 같은 내용의 ‘2025 인구주택총조사’ 실시 계획을 발표했다.인구주택총조사는 1925년 최초로 시작해 올해 100년이 된 국내 최고(最古) 통계다. 인구주택총조사는 통계법에 근거해 5년에 한 번씩 실시된다. 정부가 국가 단위로 실시하는 조사 가운데 표본 규모가 가장 크다.인구주택총조사는 조사 기준 시점(11월 1일) 현재 한국 영토 20% 표본조사구 내 상주하는 모든 내·외국인과 이들이 사는 거처가 대상이다. 조사 대상을 가구 수로 환산하면 약 500만가구에 이른다. 인구주택총조사가 국가 정책의 기본 자료로 활용되는 이유다. 조사에 동원되는 인력과 예산도 상당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이번 인구주택총조사에 동원되는 요원만 약 3만명으로, 예산 1146억원이 쓰인다. 조사 결과는 내년 11월에 공표된다.조사 주관기관은 통계청, 실시기관은 지방자치단체가 각각 맡는다. 10월 22~31일엔 인터넷과 전화조사 방식으로, 11월 1~18일엔 방문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된다. 방문 면접조사 기간에도 인터넷이나 전화조사로 참여할 수 있다.인구총조사 조사항목은 시대 변화에 따라 늘 바뀌어왔다. 인구총조사가 처음 시작된 1925년엔 성명과 성별, 출생연월, 배우 관계, 본적(국적)이 조사 항목이었다. 1930년엔 세대에서의 지위와 읽고 쓰는 정도(가나, 한글) 등과 더불어 직업을 처음으로 묻기 시작했다.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엔 인구 파악을 시급하게 하기 위해 1950년 예정됐던 센서스를 1년 앞당겨 1949년에 실시했다. 당시 조사에선 군사 경험(계급, 병과)과 징용 경험이 주요 조사항목으로 들어왔다. 그러나 이듬해 터진 한국전쟁으로 ‘대한민국 제1회 총인구조사 결과속보’ 외에는 조사자료가 소실돼 집계하지 못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한국전쟁이 지나고 첫 인구총조사가 진행된 1955년엔 불구상태(실명, 손·발 절단, 농아) 여부도 조사 대상이었다. 당시 자료엔 전쟁이 남긴 참혹한 상처가 남아있다. 자료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 각각 불구자는 11만9276명과 5만5901명에 달했고, 이중 농아가 각 성별에서 1만9197명과 1만1206명으로 가장 많았다,인구주택총조사는 한국 사회의 변화와 함께해왔다. 1960년에는 문맹 여부와 아궁이 형태가, 1970년에는 재봉틀과 전화, 라디오 등 가재 보유 여부가 인구주택총조사 주요 조사항목이었다. 1980년에는 거처의 종류(아파트, 연립주택 등)와 통근 통학 여부와 장소가, 1990년에는 소득(가구)과 구직(활동) 여부가 주요 조사 대상이었다. 1995년엔 ‘빈집’ 조사도 이뤄졌다.이번 조사에선 △가족 돌봄 시간 △결혼 계획 및 의향 △가구 내 사용언어 △한국어 실력 △임대 주체 등이 새로운 조사 대상으로 포함됐다.안형준 통계청 차장은 “인구주택총조사(센서스)는 대한민국 100년 발전사와 함께해왔고, 올해 실시하는 인구주택총조사는 코로나19 처음 실시하는 대규모 표본조사”라며 “조사목적과 취지를 고려해 적극적인 참여와 정확한 응답을 부탁드린다”라고 했다.이광식 기자 bumeran@hankyung.com

통계청, 올 10월 '인구주택 총조사' 시행

'대한민국의 데이터베이스(DB)' 인구주택총조사가 오는 10월 시작된다. 올해 인구주택총조사는 다문화가구 및 1인 가구 증가를 고려해 한국어 실력과 가구 내 사용언어, 결혼 계획 및 의향을 새로 조사할 계획이다.통계청은 3일 이 같은 내용의 ‘2025 인구주택총조사’ 실시 계획을 발표했다.인구주택총조사는 1925년 최초로 시작해 올해 100년이 된 국내 최고(最古) 통계다. 인구주택총조사는 통계법에 근거해 5년에 한 번씩 실시된다. 정부가 국가 단위로 실시하는 조사 가운데 표본 규모가 가장 크다.인구주택총조사는 조사 기준 시점(11월 1일) 현재 한국 영토 20% 표본조사구 내 상주하는 모든 내·외국인과 이들이 사는 거처가 대상이다. 조사 대상을 가구 수로 환산하면 약 500만가구에 이른다. 인구주택총조사가 국가 정책의 기본 자료로 활용되는 이유다. 조사에 동원되는 인력과 예산도 상당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이번 인구주택총조사에 동원되는 요원만 약 3만명으로, 예산 1146억원이 쓰인다. 조사 결과는 내년 11월에 공표된다.조사 주관기관은 통계청, 실시기관은 지방자치단체가 각각 맡는다. 10월 22~31일엔 인터넷과 전화조사 방식으로, 11월 1~18일엔 방문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된다. 방문 면접조사 기간에도 인터넷이나 전화조사로 참여할 수 있다.인구총조사 조사항목은 시대 변화에 따라 늘 바뀌어왔다. 인구총조사가 처음 시작된 1925년엔 성명과 성별, 출생연월, 배우 관계, 본적(국적)이 조사 항목이었다. 1930년엔 세대에서의 지위와 읽고 쓰는 정도(가나, 한글) 등과 더불어 직업을 처음으로 묻기 시작했다.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엔 인구 파악을 시급하게 하기 위해 1950년 예정됐던 센서스를 1년 앞당겨 1949년에 실시했다. 당시 조사에선 군사 경험(계급, 병과)과 징용 경험이 주요 조사항목으로 들어왔다. 그러나 이듬해 터진 한국전쟁으로 ‘대한민국 제1회 총인구조사 결과속보’ 외에는 조사자료가 소실돼 집계하지 못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한국전쟁이 지나고 첫 인구총조사가 진행된 1955년엔 불구상태(실명, 손·발 절단, 농아) 여부도 조사 대상이었다. 당시 자료엔 전쟁이 남긴 참혹한 상처가 남아있다. 자료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 각각 불구자는 11만9276명과 5만5901명에 달했고, 이중 농아가 각 성별에서 1만9197명과 1만1206명으로 가장 많았다,인구주택총조사는 한국 사회의 변화와 함께해왔다. 1960년에는 문맹 여부와 아궁이 형태가, 1970년에는 재봉틀과 전화, 라디오 등 가재 보유 여부가 인구주택총조사 주요 조사항목이었다. 1980년에는 거처의 종류(아파트, 연립주택 등)와 통근 통학 여부와 장소가, 1990년에는 소득(가구)과 구직(활동) 여부가 주요 조사 대상이었다. 1995년엔 ‘빈집’ 조사도 이뤄졌다.이번 조사에선 △가족 돌봄 시간 △결혼 계획 및 의향 △가구 내 사용언어 △한국어 실력 △임대 주체 등이 새로운 조사 대상으로 포함됐다.안형준 통계청 차장은 “인구주택총조사(센서스)는 대한민국 100년 발전사와 함께해왔고, 올해 실시하는 인구주택총조사는 코로나19 처음 실시하는 대규모 표본조사”라며 “조사목적과 취지를 고려해 적극적인 참여와 정확한 응답을 부탁드린다”라고 했다.이광식 기자 bumeran@hankyung.com

좋아요싫어요후속기사 원해요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한국경제 구독신청모바일한경 보기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구독신청모바일한경 보기

ADVERTISEMENT관련 뉴스1"경제 안 좋은데 술·담배도 끊자"…비상계엄에 지갑 닫은 서민들"케이티앤지(KT&G), 하이트진로 살 때 아닌가요?"두 종목은 이른바 '죄악주'로 통한다. 죄악주는 경기가 흔들릴 때도 안정적 수익률을 낸다. 술·담배·경제신문 씀씀이는 경제...2고용통계가 보여주는 저출산, '독박육아'의 현실 [남정민의 정책레시피]통계청은 매달 중순 ‘고용동향’이라는 통계를 발표합니다.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 중 경제활동 인구는 얼마나 되고, 고용률과 실업률은 얼마고, 연령별·산업별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32월 온라인쇼핑 21조 넘었다…배달 늘고 '갤럭시 S25 효과' 톡톡지난 2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21조원을 넘어섰다. 매년 2월 기준 역대 최대치다. 특히 음식배달 서비스 거래액, 갤럭시 S25 등 휴대전화 신기종 출시로 인한 통신기기 거래가 크게 늘며 전체 거래액 규모를 끌어올렸...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관련 뉴스1"경제 안 좋은데 술·담배도 끊자"…비상계엄에 지갑 닫은 서민들"케이티앤지(KT&G), 하이트진로 살 때 아닌가요?"두 종목은 이른바 '죄악주'로 통한다. 죄악주는 경기가 흔들릴 때도 안정적 수익률을 낸다. 술·담배·경제신문 씀씀이는 경제...2고용통계가 보여주는 저출산, '독박육아'의 현실 [남정민의 정책레시피]통계청은 매달 중순 ‘고용동향’이라는 통계를 발표합니다.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 중 경제활동 인구는 얼마나 되고, 고용률과 실업률은 얼마고, 연령별·산업별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32월 온라인쇼핑 21조 넘었다…배달 늘고 '갤럭시 S25 효과' 톡톡지난 2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21조원을 넘어섰다. 매년 2월 기준 역대 최대치다. 특히 음식배달 서비스 거래액, 갤럭시 S25 등 휴대전화 신기종 출시로 인한 통신기기 거래가 크게 늘며 전체 거래액 규모를 끌어올렸...


📰 원문 바로가기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