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상징’ 환구단 울타리 허물어 시민과 더 가까이
박현정기자수정2025-07-02 11:30등록2025-07-02 11:30
기사를 읽어드립니다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theaudioelement.0서울광장 인근 환구단 정문 앞 철제 울타리가 사라지고 정원이 조성됐다. 서울시 제공대한제국의 자주독립 의지를 상징하는 환구단의 철제 울타리가 사라지면서 시민들과 더 가까워졌다.서울시는 2일 서울광장 인근 환구단(사적 157호)으로 향하는 정문 주위 철제 울타리를 철거하고 배롱나무나 산사나무 등을 심어 정원을 조성했다고 밝혔다. 국가유산청 자료 등을 보면, 고종은 대한제국 수립을 준비하면서 1897년 지금의 웨스틴 조선호텔 정문 자리에 환구단을 세워 황제 즉위식을 열었다. 그러나 일제가 1913년 호텔 신축을 이유로 환구단을 철거해 지금은 하늘신의 위패를 보관하던 3층 팔각 건물인 황궁우과 돌로 만든 문 등만 남아있다. 황구단을 지키던 정문은 1969년 철거돼 잊혔다. 40년 가까이 시간이 흐른 2007년 8월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 재개발 과정에서 발견돼 2009년 지금의 위치로 이전·복원된다.환구단 일대 정원 조성 이전 사진. 서울시 제공광고환구단 정문 화단에는 1897년 고종이 황제로 즉위하고 환구단에서 새로운 국호를 선정할 때 기록된 실록 내용(세상에 공표하지 않아도 세상이 모두 다 ‘대한’이라는 칭호를 알고 있을 것이다)을 새겼다. 휠체어 이용자, 유모차 이용자도 환구단 정문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정비하고, 야간 조명을 설치했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환구단 정문이 가진 역사성과 정원의 아름다움을 시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공간으로 되살렸다”고 설명했다.박현정 기자saram@hani.co.kr
기사를 읽어드립니다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theaudioelement.0
기사를 읽어드립니다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theaudioelement.
서울광장 인근 환구단 정문 앞 철제 울타리가 사라지고 정원이 조성됐다. 서울시 제공
대한제국의 자주독립 의지를 상징하는 환구단의 철제 울타리가 사라지면서 시민들과 더 가까워졌다.
서울시는 2일 서울광장 인근 환구단(사적 157호)으로 향하는 정문 주위 철제 울타리를 철거하고 배롱나무나 산사나무 등을 심어 정원을 조성했다고 밝혔다. 국가유산청 자료 등을 보면, 고종은 대한제국 수립을 준비하면서 1897년 지금의 웨스틴 조선호텔 정문 자리에 환구단을 세워 황제 즉위식을 열었다. 그러나 일제가 1913년 호텔 신축을 이유로 환구단을 철거해 지금은 하늘신의 위패를 보관하던 3층 팔각 건물인 황궁우과 돌로 만든 문 등만 남아있다. 황구단을 지키던 정문은 1969년 철거돼 잊혔다. 40년 가까이 시간이 흐른 2007년 8월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 재개발 과정에서 발견돼 2009년 지금의 위치로 이전·복원된다.
환구단 일대 정원 조성 이전 사진. 서울시 제공
환구단 정문 화단에는 1897년 고종이 황제로 즉위하고 환구단에서 새로운 국호를 선정할 때 기록된 실록 내용(세상에 공표하지 않아도 세상이 모두 다 ‘대한’이라는 칭호를 알고 있을 것이다)을 새겼다. 휠체어 이용자, 유모차 이용자도 환구단 정문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정비하고, 야간 조명을 설치했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환구단 정문이 가진 역사성과 정원의 아름다움을 시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공간으로 되살렸다”고 설명했다.
박현정 기자saram@hani.co.kr
0 댓글